전체 글13 육아휴직 급여 폭발적 인상! 부부가 함께 쓰면 5920만 원 받는다 💰🔥 내년부터 육아휴직 급여 월 최대 250만 원! 일·가정 양립을 위한 변화 내년 1월부터 육아휴직 제도가 더 좋아진다는 소식이에요!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급여가 월 최대 250만 원까지 인상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답니다. 일과 가정을 함께 지키려는 부모님들에게 반가운 변화죠! 👶 육아휴직 급여가 이렇게 달라져요 지금까지는 육아휴직 급여가 월 150만 원, 그중 25%는 복직 후 6개월 뒤에 지급되었는데요. 내년부터는 육아휴직 기간 중 전액 지급으로 바뀌어요! 🙌 육아휴직 12개월을 모두 사용하면 기존 총 1800만 원에서 2310만 원으로, 무려 510만 원이 늘어나요. 게다가, 부모가 함께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각각 2960만 원씩, 부부 합산 최대 5920만 원까지 .. 2024. 12. 22. 공무원 아빠들 주목! 배우자 출산휴가, 육아휴직 혜택 대폭 강화 💣 공무원 아빠도 육아에 적극 참여! 배우자 출산휴가 10일 → 20일로 🎉 공무원들의 육아 참여를 위한 정책이 확대되었어요! 앞으로 공무원 아빠들은 배우자가 아이를 출산하면 20일간 출산휴가를 사용할 수 있답니다. 기존 10일에서 두 배로 늘어난 거라니 정말 반가운 소식이죠? 😊 또한, 미숙아를 출산한 경우에는 기존 90일이었던 출산휴가가 100일로 연장돼요. 엄마도 아빠도 아이에게 더 많은 시간을 쏟을 수 있게 되었어요. 배우자 출산휴가, 20일로 늘어나요! 🍼 기존에 배우자 출산휴가는 10일이었는데요, 이제는 20일로 늘어나 출산 후 한 달 동안 산모와 신생아를 돌볼 수 있게 되었어요. 다태아(쌍둥이 이상)를 출산한 경우에는 25일까지 사용할 수 있어요. 아빠의 손길이 필요한 시기에 든든한.. 2024. 12. 20. 공무원 부부의 희소식! 출산·육아로 같은 지역 근무 가능해진다 공무원 부부, 출산과 육아 위해 같은 지역 근무 가능해진다! 😊 출산과 육아로 인한 어려움을 겪는 공무원 가정에 희소식이에요. 이제 공무원 부부가 같은 지역에서 근무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전망이에요.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 10월 28일, 공무원 부부가 같은 지역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인사관리 개선 방안을 마련해 인사혁신처, 행정안전부, 국방부 등 49개 중앙행정기관에 권고했답니다. 왜 이런 개선안이 필요했을까요? 🤔 기존 제도에서는 공무원 부부가 같은 지역에서 근무하는 것이 어려웠어요. 특히 전출제한기간이라는 규정 때문에 결혼, 임신, 육아로 인한 인사고충이 있어도 전출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았어요. 예를 들어, 5급 공채자, 경력채용자 등은 최초 임용일로부터 일정 기간 전출이 제한되었죠. 이.. 2024. 12. 18. 임신 중 비행 괜찮을까? 비행시간별 안전한 여행법 알려드려요! 임신부 비행기 탑승, 꼭 알아야 할 정보와 주의사항 임신 중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비행기 탑승이 가능한 시기와 주의사항을 잘 숙지해야 해요. 특히 유럽, 일본, 제주도처럼 비행시간에 따라 준비해야 할 것들이 조금씩 다르답니다. 임신부와 태아 모두 안전하고 편안한 여행을 위해 꼼꼼히 알아보세요! 언제부터 비행기를 탈 수 있을까? 임신 기간에 따라 비행기 탑승 가능 여부와 주의사항이 달라요. 임신 초기 (1~12주)유산 위험이 가장 높은 시기로, 가능하다면 비행기를 피하는 게 좋아요. 부득이하게 비행해야 한다면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세요. 임신 중기 (13~28주)이 시기는 임신부가 가장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시기로, 비행기에 탑승하기 적합한 시기예요. 입덧도 줄고 컨디션도 좋아지기 때문에 여행을 .. 2024. 12. 17. 출산 후 꼭 챙겨야 할 지원금 총정리! 목차국가지원금지자체지원금 (수원시 기준)아동수당육아휴직급여추가 경제적 지원 출산과 육아는 큰 기쁨인 만큼 경제적 부담도 뒤따르죠. 이를 덜어주기 위해 국가와 지자체에서 다양한 지원 제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국가·지자체 지원금, 아동수당, 육아휴직급여 등 출산 후 받을 수 있는 주요 경제적 지원을 소개합니다. 꼭 챙기셔서 안정적인 양육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01. 국가지원금 ✔ 첫만남이용권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모든 아동에게 200만 원의 바우처가 지급돼요.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지급되며, 유흥 및 사행성 업종을 제외한 다양한 곳에서 사용 가능해요. ✔ 부모급여 2024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만 0세 아동은 월 100만 원, 만 1세 아동은 월 50만 원을 .. 2024. 12. 16. 가정에서 키워도 어린이집 보내도! 부모급여 혜택 총정리 차례부모급여란?지원 대상지원 금액지급 방식신청 방법지급일유의사항추가 정보 01. 부모급여란? 부모급여는 만 0세부터 1세까지의 아기를 키우는 가정에 경제적 지원을 제공해 육아 부담을 줄여주는 제도예요. 02. 지원 대상 ✔ 연령 요건: 2022년 1월 1일 이후 태어난 만 2세 미만(0~23개월) 아동이 대상이에요. ✔ 지급 기간: 만 2세 생일이 되기 전 달까지, 최대 24개월 동안 지원받을 수 있어요. 03. 지원 금액 2024년 기준으로 부모급여는 다음과 같이 지원돼요. ✔ 만 0세 아동(0~11개월): 매달 100만 원 ✔ 만 1세 아동(12~23개월): 매달 50만 원 04. 지급 방식 ✔ 가정에서 키울 경우: 현금으로 지급돼요. ✔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 이용 시: 종일제.. 2024. 12. 15. 이전 1 2 3 다음